1. passport 코드 모듈화
(1) - lib디렉토리 아래 passport.js 파일을 생성
(2) - 기존 main.js에 있던 passport와 관련된 코드들을 ./lib/passport.js로 이주하고 함수화
(3) - main.js와 연동시키기위해 require('./lib/passport.js') 그리고 모듈파일인 passport.js를 함수로써 exports했기때문에
그 안의 코드를 불러오려면 함수를 호출해야한다 따라서 require('./lib/passport.js')(); 로 함수 호출
2. lib/passport.js 와 main.js연동(1)
(1) - lib/passport.js 에서는 app이라는 변수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main.js에 const app = express();로써 정의되어 있 다
(2) - main.js의 매개변수로 app을 주어 lib/passport.js 에서도 app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3. lib/passport.js 와 main.js연동(2)
(1) - mian.js에서 이 후 작업인 app.post 내에서 passport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lib/passport.js에 정의되어 있다.
(2) - lib/passsport.js의 코드를 main.js에서 함수로써 불러오기 때문에 lib/passport.js의 함수 리턴 값으로
passport를 주고 이 값을 main.js에서 받아와서 var passport에 주입한다
4. lib/passport.js 와 main.js연동(3)
(1) -lib/passport.js 에서 사용하는 authData를 main.js에서 가져온다.
'WebApp > Node.js-passpo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passport sessions에 passport가 저장되지도 않고 deserialize 도 안나오는 오류해결 (0) | 2020.10.25 |
---|---|
Node.js-passport3 (0) | 2020.10.12 |
Node.js-passport2 (0) | 2020.10.10 |
Node.js-passport (0) | 2020.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