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들웨어를 이용하는 사례이면서
웹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서 굉장히 중요한 정적인
파일을 서비스하는 방법을 express버전으로 살펴보자
정적인 파일이란 예를 들면 이미지파일, javascript, css파일과
같은 것들을 웹브라우져로 다운로드 시켜주는 경우에 그러한
것을 정적인 파일이라고 한다.
1. 정적인 파일(static file) 만들기
public이라는 디렉토리안에 이미지 파일 생성
* unsplash(image file source)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파일의 이름을 hellow.jpg로 변경
웹에서 위 이미지파일에 접속하려면 우리가 정적인 파일을
서비스하는 것을 허용하고 세팅해줘야한다
expressjs.com -> getting started ->static files
*참조: expressjs.com/en/starter/static-files.html
app.use(express.static('파일이름'))
하면 해당파일이름 디렉토리 안에서 스태틱 파일을 찾겟다는 것임
그리고 주소창에 /이미지/hellow.jpg 하면 출력됨

2. route에 직접 파일첨부하기
/ route에 직접 아래와 같이 image file source를 주면
<img src="./image/hellow.jpg" style="width:300px" display:block>

결론
정리하면 우리가 정적인파일을 서비스하고 싶을 때
그 정적인 파일을 서비스하고자 하는 디렉토리를 직접 지정해주고
app.use(express.static(' '))을 통해서 그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파일을
URL을 통해 접근이 가능한 것임
'WebApp > Node.js-expr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express 복잡도 낮추기 (0) | 2020.09.19 |
---|---|
Node.js-express-error처리 (0) | 2020.09.15 |
Node.js-express-미들웨어 실행순서 (0) | 2020.09.14 |
Node.js-express -미들웨어 생산 (0) | 2020.09.12 |
Node.js-express-미들웨어사용 (0) | 2020.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