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d C:/FirstGit/git 으로 디렉토리 변경
2. mkdir(폴더 생성 명령어) hello-git-cli 으로 위에서 변경한 최종 디렉토리 git 안에 hello-git-cli이라는 폴더 생성
3. ls -al(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폴더 및 파일을 보여주는 명령어)
4.cd hello-git-cli 으로 해당 디렉토리로 변경
5. git init . (. 즉 현재 디렉토리를 깃으로써 버전관리 하겠다는 명령어)
6.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디렉토리(hello-git-cli) 안에 .git이라는 폴더가 생성됨
7. .git안에는 여러 파일과 폴더들이 있는데 바로 이 .git폴더의 부모 디렉토리(hello-git-cli) 즉 우리가 프로젝트의 파일들 을 보관하려는 디렉토리에서 변화되는 버전정보들이 .git안에 저장되는 것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 checkout (0) | 2020.11.30 |
---|---|
GIT - 버전간 차이점 비교 (0) | 2020.11.30 |
GIT - 버전만들기(2) (0) | 2020.11.30 |
GIT - 버전만들기(1) (0) | 2020.11.30 |
GIT - 설치 (0) | 2020.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