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log --stat 구체적인 파일의 변경사항과 함께 버전관리기록을 보게해주는 명령어
1. 여러개의 파일을 수정 또는 추가생성 했을 경우
(1) - hello2.txt 라는 파일을 새로 생성하여 4라는 내용을 추가
(2) - 기존의 hello1.txt라는 파일에 4라는 내용을 추가
(3) - 이 후 git status로 상태를 살펴보면
hello1.txt는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상태이고
hello2.txt는 Untracked files
즉 hello1.txt는 이전에 버전관리를 했었기 때문에 git이 버전관리하는 파일이 수정된 것을 인지하는 것이고
hello2.txt는 새로 생성된 파일이기 때문에 우리가 직접 staging하기 전에는 git이 추적하지 않는다는 뜻
2. 두파일을 모두 add하여 staging area로 올린다
(1) - git status로 상태를 보면 hello1.txt는 modified, hello2.txt는 new file 이라는 상태를 볼 수 있다.
3. git commit -m "Message 4"로 Repository에 올리고
git log --stat로 파일의 상태와 함께 버전관리기록을 살펴보면
hello1. txt | 2++(2줄이 추가되었다는 뜻)
(아마 4를 내용에 입력하고 띄어쓰기를 해서 비어있는 공간까지 추가생성으로 인지한듯)
hello2.txt | 1++(1줄이 추가되었다는 뜻)
2 files changed(2개의 파일이 바뀌었고), 3 insertions(+) (총 3줄이 추가되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 checkout (0) | 2020.11.30 |
---|---|
GIT - 버전간 차이점 비교 (0) | 2020.11.30 |
GIT - 버전만들기(1) (0) | 2020.11.30 |
GIT - 저장소 만들기 (0) | 2020.11.30 |
GIT - 설치 (0) | 2020.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