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App (100) 썸네일형 리스트형 Node.js-Module활용 module.exports = {~~~~} 라고 작성해도 무방 Node.js- Module 모듈을 이용하면 수많은 객체들을 파일로 쪼개서 외부로 독립시킬수 있다. JavaScript 심화 - inheritance(상속) JavaScript 심화 - class 전통적인 객체 지향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법중하나 class 대표적은 자바 파이썬 php가 객체를 만드는 공장으로써 class를 사용 본래는 javascript는 지원하지 않았었는데 최근 지원하게 되었음 객체를 찍어내는 공장이자 construction function의 대체제로쓴다 JavScript심화-prototype prototype 원형 어떤사물의 공통된모습 본래의모습 prototype based language = javascript sum이라는 함수는 객체가 생성될때마다 새로만들어진다 그러면 컴퓨터의 메모리가 낭비된다 =성능저하 그럼 함수를 바꿀때 생산성이 떨어진다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속성을 만들자] 한번만 정의되니까 메로리절약 1.그 객체 자신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 본다 2.없으면 그 객체의 생성자인 프로토타입의 sum함수가 있는지 보고 그걸 실행함 일반적으로 함수만 프로토타입으로 뺀다 Node.js- delete 기능 구현 *삭제기능은 링크를 걸면안됀다!! post방식으로 전송하도록 구현해라! *파일 삭제하기 fs.unlink(path, callback) Node.js-updata화면 만들기 1. update를 클릭했을때 보여지는 화면만들기 *input의 속성 중 value는 기본값(처음부터 들어가 있는 텍스트)을 가르킴 *사용자가 어떤 파일을 수정할 것인지를 내부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hidden tpye의 id값을 기존에 존재하고있는 파일로 만든다 2.update화면에서 text를 수정 후 클릭했을때 수정이 동작하도록 만들기 예제2 *위 예제1의 form창에서 title과 description을 수정하면 예제2와 같이 css파일이 css3으로 수정되고 내용이 a로 수정이 된다 fs,.rename(old file name, new file name, function(err){ fs.writeFile(new file name, description, utf8, function(err.. JavaScript심화-this, constructor function 1.객체 내에서 this의 활용 2.객체의 공장 만들기 이전 1 ··· 4 5 6 7 8 9 10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