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47)
Android studio - 기본(1) 1- EditText 와 Button 생성 및 Button을 클릭했을때 EditText창에 "윤여빈" 출력하기 (1) - xml (2) - Activity (3)- 결과 2.이동버튼을 눌렀을때 다른 화면으로 넘어가게 하기 (1) - SubActivity 생성 (1) - MainActivity에서 xml의(화면표시된) 이동버튼을 누르면 SubActivity로 넘어가도록 코드 작성 (3) - 결과 3. EditText창에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고 이동버튼을 눌렀을때 다른 화면으로 넘어가면서 입력받은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기 (1) - MainActivity.java 코드 작성 (2) - subactivity. xml 밑 SuvACtivity.java 코드 작성 (3) -결과
Andorid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wifi환경에서 핸드폰 디버깅 wimir-dev.tistory.com/3 [안드로이드 개발 환경 설정] ADB 연결하기 (USB/WIFI)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이용해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Run 하게 되면 이를 테스트 해볼 기기가 필요합니다. 에뮬레이터를 이용해서 테스트를 해볼수도 있지만, 이는 실제 기기가 아니라서 정상 wimir-dev.tistory.com 참조!
Android - 기본(0) 1. weightSum : 화면내의 비율에 따른 가중치를 주는 것 *layout_width에 하나라도 wrap_content를 주면 그 텍스트는 자신의 텍스트 크기만큼의 너비를 기본으로 가지고 있게 되기 때문에 layout_weight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2.onclick이벤트 - toast 메세지 위에서 Onclick의 이름을 Btn1Click으로 지정했기떄문에 SubActivity.java에서 Btn1Click의 이름을 가진 함수를 하나 만들고 Toast를 입력하면 자동완성 된다 매개변수 없이 재생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Logcat에서 오류가 뜨는데 Toast 클래스는 매개변수를 받기때문에 뜨는 오류이다 따라서 Btn1Click()의 괄호한에 View v 를 입력하고 View에 마우스 커서를 대고 ..
Oauth - 절차(3) - Access token 발급 이전 시간에는 우리가 리소스서버가 클라이언트를 승인하는 과정을 살펴봣다 보는것처럼 클라이언트가 리소스 오너를 통해서 authoization code값을 받았다 그러면 그다음단계로 클라이언트가 리소스서버에게 직접 이런 정보를 전송한다 https://resource.server/token? grant_type=authorization_code&(우리가 authorziaion code를 통해서 인증을 하고 있다는 뜻) code=3&(클라이언트가 가진 authorziaion code의 코드값) redirect_uri=https://client/callback&(리다이텍트 유알엘값도 전송) client_id=1&(클라이언트 아이디 값과 client_secret=2(클라이언트 씨크릿..
Oauth - 절차(2) 1.RecourceServer의 승인 Resource Server는 Client가 등록된 Client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Resource Owner을 통해서 Client에게 Authorization code를 전달합니다. 이 값을 받은 Client는 이 값과 Client secret의 값을 Resource Server로 전송해서 Client의 신원을 Resource Owner에게 증명합니다. 여기서는 이 과정을 다룹니다. 이전 시간에는 사용자가 이런 작업을 하는것을 허용합니다 하고 승인버튼을 눌렀을때 그 정보가 리소스서버에 가서 id=1이라는 유저id를 가진 리소스오너는 리소스서버안의 스콥b와c에 대한 작업을 클라이언트 id 1번이 사용하도록 허용 했다 라는것 즉 리소스오너가 클라이언트에게 일부 작..
Oauth - 용어 및 절차(1) 1.용어 client = 제 3자 앱 (ex 생활코딩) resource owner = 리소스의 소유주 (일반 사용자) resource server = API를 통해 리소스를 제공 (구글의 리소스 저장 서버) authorization server = 인증 담당으로 access token을 client 에게 보내줌 (구글의 인증 담당 서버) 리소스 서버와 인증 서버는 같은 서버일 수도 있음 2.등록 Oauth를 사용하기위해서는 일단 리소스서버에 우리의 앱인 클라이언트를 등록해야하는데 서비스(페이스북, 구글등)마다 등록방법이 다르다 공통적인것은 client ID 와 client secret authorized redirect URls 이 세가지는 공통적인것이다 client ID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식별자..
Node.js -다중사용자(3) - bcrypt 1. 비밀번호 암호화 bcrypt google 검색 : bcrypt npm www.npmjs.com/package/bcrypt bcrypt A bcrypt library for NodeJS. www.npmjs.com (1) - bcrypt 설치 npm i -s bcrypt (2) - syntax 폴더에 bcrypt.js파일 생성 (3) - 위 사이트의 추전 사용법 코드 작성 *salRouns의 기본값은 10이다! 설명은 아래 코드주석에! (4) - 이렇게 나의 비밀번호를 hash로 저장을 하고 나중에 로그인을 할때 들어온 비밀번호가 나의 비밀번호인지 확인대조를 할 코드를 작성해보자 2. 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시키기 '/register_process'에서 계정을 등록할때 password를 hash정보로 ..
블로그 성격 및 블로그 내용에 대한 저작권 출처 이 블로그는 개인학습의 과정을 기록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블로그에 기재된 포스트의 내용들은 내용의 특성에 따라 각각 egoing의 생활코딩, youtube채널의 고라니TV, 골드메탈, 홍드로이드, 조코딩, code with joyce, 테크과학!demo 관련된 포스트에 첨부 및 참조한 소중한 정보를 공유해주신 여러 블로거님들에 기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