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47)
Android Kotlin - class, 상속, 추상화, 인터페이스 1.class (1) - 기본생성자 (2) - init{} (3) - class를 바탕으로 생성한 인스턴스에 파라미터를 넣지 않았을 경우 default 값 넣기 (4) - 보조생성자 2. inheritage (상속) (1) - 파라미터가 없는 class 상속 (2) - 파라미터가 있는 class 상속 (3) - 서브클래스가 슈퍼클래스의 파라미터를 다 물려받으면서 자신의 파라미터도 가진 경우 3. 추상화와 인터페이스 (1) - 추상함수를 포함한 추상클래스 (2) - 인터페이스
GIT - pull-request 1.gitBash관리 (1) - 최초 이 상태에서 (2) - x.txt를 생성한 상태로 git add 후 git commit "x"로 새로운 버전을 만들었다 - 그리고 github의 원격저장소와 연결한 후 push를 했다 (3) - push한 이후 의 git log 상태 (4) - x.txt의 내용을 x2 로 채운 x2버전 - x.txt의 내용을 x2, x3로 채운 x3버전 - x.txt의 내용을 x2, x3, x4로 채운 x4버전(최종버전)을 모두 commit한 상태 (5) - 그리고 다시 원격저장소로 git push를 했는데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나오며 원격저장소를 새로고침해봐도 push된 상태가 적용되지 않았다 - 아래 메세지중 링크가 바로 pull requset 주소이며 원격저장소입장에서는 기존에..
Unity2D_TopDown - 초상화 애니매이션 1. 초상화관련 이미지 오브젝트 생성 (1) - 8개의 이미지가 들어가 있는 sprite를 pixel per unit = 24로 설정하고 34x46크기로 자른다 (2) - 판넬Image 오브젝트 안에 새로운 image오브젝트를 생성(Potrait) (3) - Rect Transform를 shift와 alt키를 이요하여 오른쪽아래로 위치하게 해주고 이지미 크기를 조정 2.스크립트 작성 (1) - GameManigerScript 상단에 public Image potrait;를 선언하고 GameManiger 안으로 Potrait 오브젝트를 드래그앤 드랍 (2) - 플레이어가 스캔한 오브젝트가 NPC 인경우 위에서 설정한 Potrait가 보이도록 색을 조정 (3) - NPC 가 아닌경우 Potrait 이미지를 ..
Unity2D_TopDown - 대화시스템구현 1.NPC A ~ Ston 오브젝트안에 고유id부여 및 NPC여부 체크 (1) - 1.NPC A ~ Ston 오브젝트안에 ObImpor 스크립트를 생성하여 드래그앤 드랍 2. TalkManiger 오브젝트 생성 및 TalkManigerScript 생성, 스크립트 구현 (1) - TalkManiger 오브젝트 생성 (2) - TalkManigerScript 구현 - Dictionary 사용 3.GameManigerScript에서 isAction 관리를 통해 대화창 제어 - 목적 : 예를 들어 NPC A를 스캔 했을때 isAction이 true가 되어 판넬이 켜지고 TalkManigerScript에 있는 dictionary안의 데이터를 NPC A 가 가진 id 값을 통해서 가져와 대화창에 배열의 크기만큼 스..
Unity2D_TopDown -UI (3) Ui 커서 애니메이션 1. Ui 커서 애니메이션 - 하나의 이미지를 위치조정만으로 애니메이션을 나타낼때 쓰는 방법 (1) -Image 오브젝트 안에 또하나의 Image오브젝트를 생성하고 TalkEnd로 rename (2) - 화살표 스트라이프를 Source Image에 드래그앤 드랍 하고 (3) - Set Native Size로 원본크로 맞추어준다음 (4) - Scale조정을 통해 비율을 유지한상태로 크기를 살짝 키워주고 (5) - Transform을 shith와 alt를 동시에 눌러 우측 하단에 위치시킨다 (6) - 이 후 pos X 와 pos Y로 여백조정 (1) - TalkEnd Image 오브젝트 inspector에에 Animater 속성을 추가 하고 (2) - Assets - Animation 폴더에서 animato..
GIT - rebase 1. rebase정의 (1) - init 버전을 조상으로 하는 master와 topic branch 버전 구조 (2) - ffa5e7e t3(topic branch)버전의 파일 목록 (3) - 84fc052 m2(master branch)버전의 파일목록 우리가 하고 싶은 일은 (master)m2 버전의 조상을 init버전이 아닌 (topic)t3 버전으로 바꾸고 싶다 ↗ t1 -> t2 -> (topic) t2 즉 init 에서 〓〓▷ init -> t1 -> t2 -> (topic)t2 -> m1 -> (master)m2 ↘ m1 -> (master)m2 처럼 보이도록 하고 싶은 것이다 2. rebase 명령실행 (1) - base를 이동시킬 브런치로 HEAD를 옮긴다 git checkout maste..
GIT - cherrypick 1.cherry_pick 정의 (1) - 조상인 b6bc2f2 m1버전은 work.txt 파일만 존재하는 버전 (2) - master branch의 f790368 m2버전 폴더 상태 (m1 버전에서 work2.txt 파일 추가) (3) - 4f439e3 t2버전 폴더상태 (work.txt | topic.txt 가 존재했던 t1 버전에서 topic2.txt 파일이 추가) 우리는 현재 m2 버전에다가 t2버전이 생성될때 생긴 변화(topic2.txt 파일이 추가)만을 추가하여 합병하고 싶다 m2버전 new버전(cherrypick) 즉 work.txt | work2.txt ---> work.txt | work2.txt | topic2.txt 로 만들고 싶다 이것이 체리픽이다 2 .cherry_pick 명령실행..
GIT - clone, pull,fetch 1.원격저장소의 데이터를 새로운 지역저장소로 가져오는 방법 (1) - 가져오려고하는 원격저장소의 주소를 나타내는 Clone 주소를 복사한다 (2) - git clone 원격저장소주소 생성하여저장할폴더의이름 -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새로운 폴더가 생성되며 그 폴더는 원격저장소안의 데이터가 복제되어 바로 깃으로 관리된다 * Origin, master, Origin / Master , origin/HEAD 뜻 origin : 원격 저장소에 제공되는 기본 이름 master : 로컬 저장소의 기본 브렌치 origin/master : 저장소가 처음 만들어지면서 생기는 브렌치 origin/HEAD : clone 할 때 받게 될 commit의 위치 참조: chobaekjin.tistory.com/entry/G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