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47)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 - git reset, git revert 1. git reset --hard 돌아가고싶은 상태의 git log의 고유id -해당 id로 돌아가고 그 이후의 것들은 모두 삭제됨 - --hard는 --soft --mixed등으로 대체 될 수 있는데 --hard는 현재 수정중인 working tree에 있던 데이터도 함께 날려버림 +*git reset 고유id 는 고유id로 HEAD 와 master를 둘다 주고 그 이후 버전은 없앤다 *git checkout 고유id 는 고유id로 HEAD만을 주고 이후 버전은 없앤다(없어진 최신버전에 master가 있음) *HEAD 와 master의 차이는 차 후에 알아봐야할 듯 하다 ++git checkout은 브런치(branch)를 옮기는 것이다 HEAD는 현재 나의 브런치를 가르키는 것이고 master는 기본.. Unity2D_TopDown - 타일애니매이션 및 콜라이더, 플레이어 기본설정 1.Rule Tile Animation - Rule Tile 생성 후 +표시 클릭항 Tiling Rules를 추가하고 Output을 Animation으로 주어 Size와 Speed등 설정 후 - 관련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삽입 - 위 방법으로 만든 rule tile을 Tile Palette에 드래그앤 드롭하고 - 계층구조의 Tilemap 오브젝트를 클릭하고 격자무늬 Scene이 나오면 팔레트에서 Scene 화면으로 드래그 앤 드랍 2. 카메라 해상도 조절 - 픽셀 크기와 카메라 해상도가 맞지 않아서 아래와 같이 가운데에 줄이 그어져 있다 - Main Camera의 Inspector에서 컴포넌트로 Pixel Perfect Camera를 추가하고 - Assets Pixels Per Unit을 사용하고 있는 스.. Unity2D_TopDown - Rule Tile 출처 : 유튜브 골드메탈 www.youtube.com/watch?v=JY-KFx3OsJo&list=PLO-mt5Iu5TeYfyXsi6kzHK8kfjPvadC5u 1. Sprites 이미지 조각내기(아틀라스) -Sprites 폴더에 다운받은 sprite 이미지를 드래그앤 드랍 -Pixels Per Unit = 16, Sprite Mode = Multiple, Filter Mode = Point(no filter), Compression = None 설정 (작은 픽셀의 2D 스프라이트에 유리한 설정) - Sprite Editor에서 Pixel = 16, Padding = 1 로 Slice 후 Apply 2. 2D Extra in GitHub -github.com/Unity-Technologies/2d-ext.. Java -문법 참조 출처 m.blog.naver.com/hann726/221661372164 [JAVA] 28. 자바 final 필드, static final 자바 final 필드final 필드는 필드에 초기값이 저장되면 그 이후로 값을 변경할 수 없는 필드입니다. final... blog.naver.com Android Kotlin - 함수,변수,조건식,배열,리스트 1. 함수 2. 변수 3.String Template 3. 조건식 4.조건식 when 5.배열, 리스트 5-1. 배열 5-2. 리스트 유투브 32분 더보기 GIT - git bash 단축키 및 명령어 중간정리 출처 : egoing.org git commit --amend : 커밋메세지 재작성 git log -1 : 바로 전 최신단계 커밋메세지를 보여줌 pwd :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위치 git init . : . 즉 현재 디렉토리를 깃으로써 버전관리 하겠다는 명령어 mkdir 파일명 : 폴더 생성 명령어 ls -al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폴더 및 파일을 보여주는 명령어 nano 파일명 : 터미널 안에서 파일편집 touch 파일명 : 터미널 안에서 파일 생성 cat 파일명 : 터미널 안에서 파일내용 보여줌 git commit -m "~~" : add된 파일들을 모두 버전관리하도록 commit을 실행 git commit -am "~~" : 이전에 이미 버전관리가 된 파일을 대상으로 add와 commit을 한.. GIT - 명령어 commit -am , commit(nano에디터) 1. git commit -am "~~" 명령어 살펴보기 (1) - touch hello3.txt로 hello3.txt라는 새로운 파일을 생성한다 (2) - nano hello2.txt로 기존의 버전관리된 적이 있는 hello2.txt 파일의 내용을 수정한다 (3) - git status를 하면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상태의 hello2.txt 파일과 Untracked files 상태의 hello3.txt 파일을 볼 수 있다 (4) - 이 상태에서 기존에는 각각 git add hello2.txt , git add hello3.txt를 하고 (*git add . 명령어로 . 즉 현재폴더 안의 모든 파일을 add할 수도 있다.) git commit -m "~"로 버전관리를 시작.. GIT - checkout *Ctrl + Insert = 복사 Shift + Insert = 붙여넣기 1. git checkout 해당버전고유id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버전으로 현재파일이 바뀐다! *git log에서 보이는 (HEAD)는 현재 파일의 상태가 어떤버전인지를 나타낸다 2. 다시 가장 최신의 버전의 상태로 돌아가고 싶다면 git checkout master 명령어 입력 *master는 가장 최신의 버전의 고유id를 나타는 것과 같다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