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46)
Unity3D_MyProject - 게임개발일지#2(2023. 1. ~ 2023. 1. 11) 2023. 1. ~ 2023. 1. 11 ●1. 2 - 보스포탈 구현 - 0.포탈은 순차적으로 최초 플레이 10분째 생성되고, 이 후에는 보스 클리어 시간 기준으로 다시 10분 간격으로 총 3회 생성됨 포탈의 생성과 관리는 InGameManiger에서 관리 - 1.월드필드 포탈 월드필드에서 캐릭터가 포탈에 들어가면 보스필드로 캐릭터 이동, 가시적, 내부적 포탈 출입 제한 횟수(3회)에서 1회씩 차감 - 2.보스필드 포탈 보스필드에서 캐릭터가 포탈에 들어가면 월드필드로 캐릭터 이동 3회 출입 제한 횟수 모두 소진 시 보스필드에서 월드필드로 나올 수 없음 ●1.5~ 1.10 - 보스1(거미보스) 구현 : 3가지 공격을 랜덤으로 사용(MonsterBase 스크립트를 기본으로 하여 상속받아 BossFSM 스크립..
Unity3D_MyProject - 게임개발일지#0(2022. 1. ~ 2022. 12.) 2022년도는 개인적인 이유로 개발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 못했습니다 ㅠㅠ... 하지만 최종적으로 기회의 큰 틀을 잡고 추가적으로 여러가지 요소들을 더해가면서 인게임Scean : UI Scean을 약 4:6정도의 비율로 작업을 했던 것 같습니다. 2023년 초에는 개발을 마무리할 생각으로 기능적인 부분은 마무리짓고 사운드작업까지 완료했네요 UI Scean은 95%이상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후 인게임Scean을 마무리 지으려했는데 무언가가 부족하다고 느껴졌는지 Play요소들을 추가하려는 계획을 세워버렸네요. 2022년도에 개발을 하면서 유저를 사로잡기 위해서 레벨디자인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러면서 저의 첫게임을 할 수 있는 것들은 다 해보자는 생각으로 약간의 기획변경 및 수정을 거쳐야..
Unity3D_MyProject - 게임개발일지#0(2021.5. ~ 2021. 12.) 그동안 게임개발일련의 과정을 메모장으로 기록을 해왔었습니다. 처음 본격적으로 게임개발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시작한 건 2021. 5월경 이었네요 직장을 다니면서 느리지만 나름 꾸준히 개발을 해왔던 과정들입니다 처음에는 터치로 공을 Charge시켜 스와이핑으로 날리며 점진적으로 StageClear를 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다가 로그라이크로 장르를 바꾸게 되었구요 중간중간 게임의 방향성을 수정하는 일이 잦았네요 첫 6개월 동안은 게임개발에 있어 기획단계가 매우 중요함을 느꼈습니다 나름의 개발프로젝트를 시작한 2021.5월 부터 현재 2023. 1. 12까지 1년반 정도 프로젝트를 진행해오고 있네요 그 간의 과정들을 기록한 메모장 개발일지를 연도별로 포스팅 하고 남기려 합니다 2021. 5. 1. ~ 2021. 12..
Deep Learning을 활용한 지도학습 Deep Learning을 활용하여 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도학습을, 그 중에서도 회귀를 사용해보려고합니다. 문제해결 과정은 크게 4단계로 나뉩니다. #1. 데이터를 준비합니다. #2. 모델의 구조를 만듭니다. #3. 데이터로 모델을 학습 시킵니다. #4. 모델을 이용합니다. 1. 주어진 데이터 속에서 원인(독립변수)와 결과(종속변수)를 구별합니다. - 예를 들어 공을 X개를 넣으면 Y개의 공을 되돌려주는 마법의 상자가 있다고 생각해볼까요? 그렇다면 원인이 되는 넣는 공의 개수 X는 독립변수라고 부르고 결과가 되는 상자에서 되돌아 나오는 공의 개수 Y는 종속변수라고 부르는 겁니다! 주어진 데이터란 위 행위를 여러번 반복해서 나오는 넣는 공의 갯수에 따른 되돌아 나오는 공의 갯수를 기록한 데이터를 말..
Deep Learning 1.Deep Learning이란? ● 기계를 학습시켜서 인간의 판단능력을 기계에서 위임하는 것이 Machine learning(머신러닝)이라고 했죠? - 머신러닝안에는 많은 기술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했습니다. 예를 들어 그 중 지도학습 영역의 회귀 와 분류 문제를 해결해야할 상황이 왔다고 가정해보죠. 회귀는 숫자를 예측하는 것이고, 분류는 범주형 즉 카테고리 형태의 결과를 예측하는 겁니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 이 방법들을 Machine learning algorithm(기계학습 알고리즘)이라고 합니다. 유명한 방법들에는 decision Tree, Random Forest, KNN, SVM, NeuralNetwork 등이 있습니다. 위 알고리즘들은 모두 머신러닝 문제를 해결하..
Machine Learining 출처 : https://ebbnflow.tistory.com/165 : https://opentutorials.org/course/4548/28934 : https://wooaoe.tistory.com/8 1.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이란? 머신 러닝은 인공 지능의 한 분야로, 컴퓨터가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과 기술을 개발하는 분야를 말합니다. 기계 학습의 핵심은 표현(representation)과 일반화(generalization)에 있다고 합니다. 표현이란 데이터의 평가이며, 일반화란 아직 알 수 없는 데이터에 대한 처리입니다 아울러 1959년, 아서 사무엘은 기계 학습을 “컴퓨터에게 배울 수 있는 능력, 즉 코드로 정의하지 않은 동작을 실행하는 능력에 대한 연구 분야”라고 ..
Unity3D_MyProject - 게임개발일지#1 오랜만에 블로그를 쓰게되었습니다.. 꽤 긴 기간 개발해온 모바일게임 프로젝트가 있는데 어느정도 진행되었는지 기록하려고 다시 오랜만에 블로그에 접속하게 되었네요 초기 구상은 아래와 같이 유명한 모바일게임인 궁수의전설을 모티브로하여 초기 UI를 구상하고 인게임에서는 원맵 클리어 앤 스테이지 이동 형식으로 개발을 했었습니다 UI는 유투브 고라니 tv님 영상을 참조했습니다 기능은 유지하고 나중에 이미지는 커스텀으로 다시 꾸며줄 예정이었구요 인게임에서 터치로 이동하고 캐릭터의 움직임을 멈추면 원거리기본공격을 합니다 추가로 가까이서 공격하면 근접공격을 하도록 했습니다 손을 빠르게 슬라이드하여 회피기인 대쉬가 작동하도록 추가했고 또한 액티브스킬로 직접 터치하여 사용하는 캐릭터 고유 스킬도 만들었습니다. 슬롯을 돌려 ..
나는 아직 개발중이다.. 현재 유니티로 모바일게임을 개발중입니다 그동안 코로나이슈로 자가격리 기간 있었고.. 코태기가 왔으며 최근 다른 관심사가 생겨 유니티개발에 신경쓰는 시간이 줄었네요. 하지만 그래도 꾸준히 개발은 진행중입니다 최소 하루에 기능 하나씩, 최소 코드 몇줄 씩은 추가해 나가고 있습니다. 신기한건 지난 1년간 자신의 지식을 공유해주신 감사한분들의 코드를 따라하고 제 나름대로 공부를 한 결과 일까요? 제 프로젝트에서 머릿속으로 생각하고 내가 바라는 기능들을 어떤 방식이던간에 코드로 녹여서 구현을 해내고 있습니다.. 아직은 많이 부족하지만요... 그래도 신기하고 뿌듯하기도 합니다 올해 개발을 완료하고 앱스토어 출시까지가 목표였지만 조금은 연기될 것 같네요 그래도 꾸준히 해나갈 겁니다 조만간 개발이야기로 티스토리를 다시..